최근 5회의 유행기에 검출된 Mycoplasma pneumoniae 의 마크로라이드 내성과 Multilocus Sequence Typing 과의 연관성 연구, 2000-2016

최근 5회의 유행기에 검출된 Mycoplasma pneumoniae 의 마크로라이드 내성과 Multilocus Sequence Typing 과의 연관성 연구, 2000-2016

Multilocus Sequence Typing and Association with Macrolide Resistance of Mycoplasma pneumoniae from children in Korea during five consecutive outbreaks, 2000 to 2016

(지상발표):媛
Release Date :
Joon Kee Lee1, Jun Ho Lee2, Hyunju Lee3, Young Min Ahn4, Byung Wook Eun4, Eun Young Cho5, Hwa Jin Cho6, Ki Wook Yun1, Hoan Jong Lee1 , Eun Hwa Choi1
Seoul National Unive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1
Kangwon Medic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2
Seoul National Univesity Bundang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3
Eulji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4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5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Department of Pediatrics6
이준기1, 이준호2, 이현주3, 안영민4, 은병욱4, 조은영5, 조화진6, 윤기욱1, 이환종1 , 최은화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1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3
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4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5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6

Abstract

목적: Mycoplasma pneumoniae는 소아와 청소년에서 지역 사회 획득 하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3-4년마다 크게 유행하는 경향이다. 또, 2010년 이후에는 마크로라이드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어, 각 유행기별 균의 특징과 마크로라이드 내성과 연관된 유전적 배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통해 각 유행기별 유전적 다양성과 마크로라이드 내성과 연관된 유전적 배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 5회의 유행기 동안 국내 5개 병원에서 하부 호흡기 감염으로 진단받은 18 세 이하 소아들의 호흡기 검체로부터 배양 혹은 PCR법으로 검출된 M. pneumoniae의 DNA를 대상으로 하였다. 23S rRNA domain Ⅴ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마크로라이드 내성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8개의 housekeeping 유전자를 통해 MLST를 분석하였다. M. pneumoniae MLST 데이터베이스 (pubmlst.org/mpneumoniae/)를 통해서 allele과 sequence type (ST)를 배정하였으며 eBURST v3 소프트웨어 (eburst.mlst.net/)를 통하여 MLST 사이의 연관성과 clonal complex (CC)를 부여하였다. 결과: 무작위로 선택한 총 124개의 M. pneumoniae 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마크로라이드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46.8% 였으며, 2010-12 유행기와 2014-16 유행기에는 내성률이 54.1%와 84.4%이었으며, 2000년, 2003/04년, 2006년 유행기에서는 마크로라이드 내성균이 포함되지 않았다. MLST 분석 결과, 새로 발견된 ST31을 포함하여 총 8개의 ST가 있었으며, ST3 (74.2%), ST14 (14.5%), ST15 (3.2%) 순으로 분포하였다. ST3는 모든 유행기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ST 였으며, 각 유행기마다 2-4 가지 종류의 ST가 관찰되었다. 실험에서 발견한 8가지 ST 모든 종류가 마크로이드 감수성을 보인 균 66개 (53.2%)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ST3 (35, 53.0%), ST14 (17, 25.8%), ST15 (4, 6.1%) 의 순이었다. 반면, 마크로라이드 내성을 보이는 균주 58개 (46.8%) 중 ST3가 57개 (98.3%) 와 ST14가 1개 (1.7%)로 두 가지 ST만 관찰되었다. 마크로라이드 내성을 보이는 ST3의 비율은 2010-12년 유행기 87.0% (20/23), 2014-16년 유행기 92.5% (37/40)로 나타났다. eBURST 상 두 개의 CC를 발견하였고 각각 ST3, ST17, ST1 (CC1), ST14, ST15, ST7, ST31, ST2 (CC2)를 포함하였다. 결론: 국내 소아에서 5회의 유행기 동안 M. pneumoniae의 MLST는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ST31을 포함하여 ST1, ST2, ST3, ST7, ST14, ST15, ST17, ST31의 8가지로 분석되었고 주된 ST는 ST3였으며 ST14가 일부를 차지하였다. ST는 유행을 거치면서 ST3와 ST14 두 가지 ST 로 압축되는 경향을 보였고 마크로라이드 내성은 대부분 ST3 에서 나타났으며 ST3 내에서도 내성을 나타내는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Keywords: 마이코플라즈마, ,